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

미래교육 1925년,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의 답변에 따라 보상이나 강화를 제공하는 교수기계(teaching machine)가 최초로 개발되었다. 1960년, 최초의 컴퓨터 활용 교수 시스템(computer-assisted instruction system)이 만들어졌다. 현대의 다중 사용자 환경 개념(포럼, 메시지 보드, 온라인 시험, 이메일, 채팅룸, 이모지, 메시징, 원격 화면 공유, 다중 플레이어 게임 등)이 이때 시작되었다고 한다. 80여 년이 흐른 지금, 이런 컴퓨터 환경은 대중화되어 실생활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흔하게 쓰고 있다. 지난 세기 말에 개발된 기술이 서서히 발전하고, 인간의 생활이 그에 따라 바뀌어갔다. 그런데 이런 기술이 우리나라 학교환경에 제대로 도입된 것은 아마 올해가 첫해라고 해도 .. 2021. 7. 25.
블렌디드, 방법이 아닌 문화 블렌디드, 피할 수 없나 이제 ‘블렌디드’를 수업운영 방식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나 문화로 이해할 때다. 블렌디드 문화에 우리가 이미 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첫 번째 예로 요즘 유튜브에 등장하는 인기있는 인물 3명을 만나보자. 영등포 상가번영회 회장 '이택조 - Google Search'라는 사람이 있다. '한사랑 산악회' 부회장을 맡고 있는 그는 등산이 취미인 50대 아저씨로서 말투와 옷차림, 세수하는 모습까지 남녀노소 시청자들의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또 다른 인물은 'B대면 데이트'라는 콘텐츠에서 항상 정돈된 머리와 단정한 옷차림으로 인기를 끄는 ‘이호창 - Google Search’이라는 인물이 있다. 세 번째 인물은 ‘매드몬스터’라는 그룹의 ‘제이호 - Google Sear.. 2021. 7. 25.
교육과 플랫폼 플랫폼이란 원래 사람이 서 있거나 물건을 둘 수 있는 높이가 좀 높은 곳을 뜻한다. 또는 정치단체이 내세우는 자신들의 정책을 뜻하기도 한다. 흔히 기차역의 승강장을 일컷기도 한다. 최근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 영역에서는 일반 사용자들을 위해 프로그램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software, app)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반이 되는 운영체계(Operating System, OS)나 기술환경들을 말한다. 최근 학교현장과 교육기관에서 많이 사용하게된 플랫폼은 지스윗(G-Suite) 구글클래스룸(Google Classroom), 마이크로소프트 팀즈(Microsoft Teams), 유투브(Youtube), 줌(Zoom) 등이 있다. 지스윗이나 팀즈의 경우 일반 기업에.. 2021. 7. 25.
블렌디드 수업,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가 이제 '블렌디드 러닝'이나 '블렌디드 수업'이라는 말이 교육계에서는 일상용어가 되었다. 도구를 하나 둘 배우고, 교실수업과 원격수업의 형태를 머릿속으로 그려보는 교사가 많아졌다는 뜻이다. 그런데, 한 시간의 수업, 한 단원의 수업, 한 학기의 수업을 디자인할 때 교재와 교육과정을 떠올려 볼 것이다. 추가로 생각하는 것은 내가 익숙한 혹은 많이들 사용하는 에듀테크 도구다. 이보다 먼저 스스로 던져볼 질문은 이런게 아닐까. 수업을 디자인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수업을 디자인할 때 고민할 것은 무엇인가? 수업을 디자인한다는 것은 학습목표, 학습활동 및 수업 전략, 평가를 줄맞춰보는(alignment) 것이다. 이 과정을 염두에 두고, 블렌디드 수업을 디자인하는 것이란 수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 2021. 7. 25.
Timeline JS: 타임라인 만들기 바로가기 Timeline (knightlab.com) Timeline JS는 이름대로 타임라인을 만드는 무료 웹 도구이다. 일단 양식이 있는 구글시트를 내려받아 Official TimelineJS3 Template - Make a copy (google.com) 그 양식에 원하는 내용을 채운다. 시간과 사건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디어(이미지, 영상, 웹사이트, 사회관계망서비스 등)를 추가할 수 있다. 결과물은 여러 웹 페이지에 임베딩 가능하다. 아래 영상은 만드는 방법이다. 2021. 7. 25.
TagCrowd: 워드클라우드의 또 다른 형태 바로가기 https://tagcrowd.com/ 텍스트의 어휘를 빈도수에 따라 보여주되, 구름 모양이 아닌 아래와 같이 직선형태로 나타낸다. 500kb까지 입력가능해서 크리스마스캐럴 텍스트 전체(117kb)을 넣어 분석해보았다. 2021. 7. 25.
Concordle: 콘코던스(concordance) 만들기 바로가기 http://folk.uib.no/nfylk/concordle/ Concordle은 콘코던스를 만드는 무료 웹기반 도구이다. 콘코던스(concrdance)란 어떤 텍스트의 주요 단어가 그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모든 경우를 리스트로 보여주는 도구이다. 그 단어뿐만 아니라 주변의 몇 단어들까지 함께 보여주어 어떤 맥락에서 그 단어가 나타나는지 파악하도록 돕는다. 아래 그림을 보면 회색 박스에 원하는 텍스트를 붙여넣기하고, 그 아래에는 엉성하지만 워드클라우드(Word Cloud)를 보여준다. 여기서는 어휘의 빈도수에 따라 단어의 크기가 결정된다. 그 아래에는 콘코던스 리스트를 보여주는데, 핵심어휘 'concordance' 'all' 'application' 'author'가 어떤 맥락에서 나타나는지를 .. 2021. 7. 25.
Coh-Metrix: 텍스트 가독성 분석 도구 바로가기 Coh-Metrix (cohmetrix.com) 텍스트의 가독성은 보통 문장의 난이도(한 문장당 단어 또는 절의 갯수로 측정)와 단어의 친숙도(단어의 빈도로 측정)로 계산한다. 그런데 Coh-Metrix에서 측정하는 것은 내러티브, 통사구조의 단순성, 어휘 구체성, 지시적 응집성, 심층구조의 응집성이다. 이 점수로 우리가 파악할 수 있는 것은 텍스트가 얼마나 응집성있느냐 하는 것이다. 응집성이 떨어지는 텍스트를 읽으면 힘들다. 자세히 읽어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르치는 자는 텍스트를 분석하여 학생들이 독해할 때 어떤 장애물을 만나게 될 것인지, 어떻게 극복해야하는지를 준비하여 가르칠 필요가 있다. 이 도구에서 측정하는 값은 다음과 같다. Narritivity: 내러티브적 성격은 텍스트가 .. 2021. 7. 25.
구텐베르그 프로젝트: Read, enjoy, and share! 위키피디아 설명 https://en.wikipedia.org/wiki/Project_Gutenberg 구텐베르그 프로젝트 바로가기 Search | Project Gutenberg 구텐베르그 프로젝트는 가장 오래된 디지털 도서관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작권이 소멸된 도서를 디지털화하는 자원봉사 활동으로 1971년 미국작가 Michael S. Hart가 (Michael S. Hart - Wikipedia) 시작했다. 2021년 5월 22일 기준으로 Project Gutenberg는 무료 전자책 컬렉션에서 65,405개 항목이라고 한다. 수천명의 사람들이 ebook을 디지털화하고 오타를 수정하고 있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인류의 유산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그런 의미에서 책을 기기나 프로그램의 제한이 .. 2021. 7.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