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인문학6 Timeline JS: 타임라인 만들기 바로가기 Timeline (knightlab.com) Timeline JS는 이름대로 타임라인을 만드는 무료 웹 도구이다. 일단 양식이 있는 구글시트를 내려받아 Official TimelineJS3 Template - Make a copy (google.com) 그 양식에 원하는 내용을 채운다. 시간과 사건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디어(이미지, 영상, 웹사이트, 사회관계망서비스 등)를 추가할 수 있다. 결과물은 여러 웹 페이지에 임베딩 가능하다. 아래 영상은 만드는 방법이다. 2021. 7. 25. TagCrowd: 워드클라우드의 또 다른 형태 바로가기 https://tagcrowd.com/ 텍스트의 어휘를 빈도수에 따라 보여주되, 구름 모양이 아닌 아래와 같이 직선형태로 나타낸다. 500kb까지 입력가능해서 크리스마스캐럴 텍스트 전체(117kb)을 넣어 분석해보았다. 2021. 7. 25. 구텐베르그 프로젝트: Read, enjoy, and share! 위키피디아 설명 https://en.wikipedia.org/wiki/Project_Gutenberg 구텐베르그 프로젝트 바로가기 Search | Project Gutenberg 구텐베르그 프로젝트는 가장 오래된 디지털 도서관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작권이 소멸된 도서를 디지털화하는 자원봉사 활동으로 1971년 미국작가 Michael S. Hart가 (Michael S. Hart - Wikipedia) 시작했다. 2021년 5월 22일 기준으로 Project Gutenberg는 무료 전자책 컬렉션에서 65,405개 항목이라고 한다. 수천명의 사람들이 ebook을 디지털화하고 오타를 수정하고 있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인류의 유산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그런 의미에서 책을 기기나 프로그램의 제한이 .. 2021. 7. 24. 대중을 위한 디지털 인문학 파편적으로 보이는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 갈 길을 고민해본다. 미국 NEH(National Endowment for Humanities)은 인문학 프로그램에 대한 펀딩을 제공하는 아주 큰 기관이다. 박물관, 기록 보관소, 도서관, 대학, 공영 텔레비전, 라디오 방송국과 같은 문화 기관과 개별 학자에게 연구비를 지급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학교 및 대학에서 인문학을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을 도움 연구 및 독창적 학문활동을 촉진 대중들의 평생 학습의 기회를 제공 문화 및 교육 자료를 보존하고 이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임 인문학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함 NEH에서 제공하는 대중을 위한 디지털 프로젝트 프로그램은 웹사이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투어, 대화형 터치 스크린 및 키오스크, 게임, 가상 환경과 .. 2021. 7. 24. Google Arts & Culture: 세계의 박물관을 내 손에 Google Arts & Culture (이하 아츠앤컬쳐) 는 2011년에 시작된 프로젝트로 전 세계의 예술작품, 역사적 건축물, 유명한 자연경관을 현장에 가보지 않고도 가까이에서 경험할 수 있게 하는 도구입니다. Google Arts & Culture is an online platform through which the public can access high-resolution images of artworks housed in the initiative's partner museums. The project was launched on 1 February 2011 by Google through its Google Cultural Institute initiative, in cooperation .. 2021. 7. 21. Voyant Tools: 텍스트 분석 도구 Voyant tools 바로가기 Voyant Tools (voyant-tools.org) Voyant tools는 오픈소스 웹기반 프로그램으로, 텍스트나 말뭉치(corpus)를 분석하여 우리는 그 결과를 학문적으로 읽고 이해할 수 있다. 주로 디지털 인문학자들이 사용하나, 일반 대중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접근이 쉽다. 사용자가 텍스트를 온라인으로 업로드해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Voyant에는 분석 도구가 여러가지여서 tools라고 복수로 불린다. 단어빈도수 목록, 빈도 분포도, KWIC 디스플레이 등을 실행하여 텍스트를 다각도로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오만과 편견을 voyant tools을 이용해 분석해보자. 구텐베르그 프로젝트에 가서 오만과 편견 텍스트의 주소(https://www... 2021. 7.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