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 매직 스쿨: 인공지능 서비스 활용 수업 디자인 https://www.magicschool.ai/ MagicSchool.ai - AI for teachers - lesson planning and more! Join thousands of teachers saving hours of time using AI to help lesson plan, differentiate, write assessments, write IEPs, communicate clearly, and more! www.magicschool.ai Planning 수업 계획하기 YouTube Video Question Generator: YouTube 동영상에 맞춰 안내 질문을 생성합니다. **작성자가 선택 캡션을 활성화하지 않은 경우 동영상이 로드되지 않습니다. Conceptual U.. 2023. 10. 3. 교수법 특강: 링크 모음 루브릭 메이커 강의 목표에 쓸 행동 동사 리스트 논문 읽기: 묻고 답하기 그림에서 텍스트 추출, 텍스트를 표로 만들기 브라우저에서: 빙 한글 메뉴로 손쉬운 지피티 사용 이미지 제작 도구: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 이미지 제작 도구: 마이크로소프트 디자이너 이미지+텍스트 제작 도구: 이디오그램 3D 이미지 제작 도구: 스카이박스 로고 제작 도구: 브랜드 마크 개인차에 맞춘 개념학습 도구: 클래스카드 글쓰기 교정: 에딧지피티 무엇이 옳은가 AI 지도책 AI 전쟁 AI 강의 필수교양 정보문해력 블렌디드 수업 디자인 2023. 9. 20. 학습목표 만들기: '설명하다'라는 행동 학생들에게 '말하기'이나 '글쓰기'를 요구할 때, 보통 '설명해 봐'라고 합니다. 가르치는 사람이 요구하는 것이 어느 정도인지 학생들이 감을 잡기 어려울 수 있어요. 따라서, 깊이와 초점을 상세하게 요청하는 것이 좋겠죠. '평가'가 이루어지는 장면 훨씬 이전에 아래 동사들이 뜻하는 바를 구별할 수 있도록 도와줍시다. 진술하다(State) 명확하고 간결하게 제시하거나 선언하는 것. 자세한 설명 없이 간단한 답변이나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예: 한국의 수도를 말하라(state) ➡️ 서울 설명하다(Explain) '설명'은 진술(state)하는 것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감. 보다 포괄적인 설명이나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주제를 세분화하고, 맥락을 제공하며, 방법과 이유를 명확히 알려주는 것을 포함한다. 예: .. 2023. 9. 20. 학습목표 작성하기: IB 교육과정 command terms에서 수업을 디자인하는 것은 (1) 수업의 목표를 정하고 (2) 그 목표를 향해 가도록 학생들이 어떤 경험을 하게 할 지 정하고 (3) 학생이 그 목표에 얼마나 다가갔는지 살피는 평가 방법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 때, (1), (2), (3)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업 목표를 문장으로 명확하게 적어보자. (1) 주어는 '학생'이다. 수업이 끝나면 학생에게 어떤 변화가 있는지 보여주어야 한다. (2) '무엇'을 어떤 '상황'이나 '조건'에서 해야할 지 명시한다. (3) 문장의 마무리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동사로 한다. 수업 목표를 작성할 때 흔히 하는 실수는 '안다', '이해한다' 로 마무리하는 것. 이 두가지 모호한 서술어는 가르치는 사람도 배우는 사람도 도와주지 못한다. .. 2023. 9. 20. PISA와 21세기 역량 교육 21세기 역량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Charles Fadel 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학업성취기준 PISA 랭킹과 21세기 역량 랭킹이 상반된 관계에 있다고 한다. 다시말해 수학/과학/영어는 잘하지만 정보처리, 공동체, 의사소통 등 소프트스킬은 바닥이라는... 연구보고서 바로가기 Assessing countries___ competencies-CCR-CSE Leading Education Series_3 06-2021.pdf 내가 생각하는 원인은... 1. 초중고 교과 경계가 너무 분명해서 교과를 넘나드는 사고를 할 줄 모른다. 사범대 교육이 그러하고 초중고 교육이 그렇다. 노력하는 선생님들은 있으나 그렇지 못한 문화에서 해내기가 버겁다. 예를 들어 통합과학, 통합사회를 가르치라고 하고 교육과정이 .. 2021. 7. 26. Mendeley: 논문 관리 도구 내려받기 Download Mendeley Desktop | Mendeley 논문쓰기를 시작해야한다면 우선 이 프로그램부터 설치하자. 죽어도 종이로 봐야 해!라고 하는 자들도 일단 설치하자. 논문을 주제별, 학자별, 날짜별 등등 여러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내 생각을 언제나 원하는 위치에 메모할 수 있다. 메모한 생각을 언제나 검색해서 어느 논문의 어느 위치에 메모해 두었나 찾을 수 있다. 탐나는 논문이라면 모델링 대상으로 따로 태그 달아두자. 언제든 꺼내어 보고 본받기하자. MS Word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참고문헌을 클릭 한 번으로 완성할 수 있다. 논문을 한 번이라도 써본 자들은 안다. 이것이 도깨비 방망이가 될 수 있음을... 이런 도구는 세상에 많다. 그런데 소프트웨어 구매에 큰 돈을 쓸 수 없는.. 2021. 7. 26. 메타인지 전략 연습을 포함하는 수업 디자인 학교와 학원에서 시간을 많이 보낸다고 시험 성적이 오르지 않아서 속상한 학생들이 많다. 배운 것을 내가 정말 알고 있는지 스스로 생각하고, 어떤 공부 방법이 효과적인지 돌아볼 필요가 있는데, 그럴 기회를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메타인지이다. 내가 무엇을 알고 있는지, 무엇이 효과적이고 그렇기 않은지, 도달하고 싶은 목표가 무엇인지 스스로 질문하고 알아차려야 제대로 된 학습이 가능하다. 메타인지를 향상시키는 향상시키는 몇가지 전략을 살펴보고 이들을 수업과 평가에 포함할 지 생각해보자. A. 수업계획서를 로드맵으로 사용한다 수업의 주제가 왜 그런 순서로 되어 있을까? 어떤 주제가 핵심적이라고 생각하는가? 이 학습을 할 때 필요한 사전 지식은 무엇일까? B. 배경지식을 활성화한다. 수업에서 다루어.. 2021. 7. 25. 한국인이 외국어를 잘 한다는 것은 한국에서 외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면 학업과 취업에 유리하다. 시절에 따라 쓸모가 많은 외국어와 아닌 외국어가 바뀌기도 하지만, 대체로 외국어 구사력은 능력이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렇지만 안타깝게도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어를 모국어로 한다면 유창한 다중언어자가 되기란 쉽지 않다. 왜 그럴까? 첫번째 이유는 언어 간의 거리(linguistic distance)에서 찾아볼 수 있다. 서로 다른 언어가 철자법이나 어휘의 뿌리 등에서 비슷하다면, ‘언어 간의 거리가 가깝다’고 한다. 외국어를 배워 본 한국인이라면, 한국어와 외국어 사이의 거리가 매우 멀 것이라 예상할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두 언어 사이의 유사성 점수를 제공하는 eLinguistics에 따르면, 영어와 독일어와의 거리는 30.8이.. 2021. 7. 25. 영어를 안다는 것 몇 년 전 루마니아에서의 일이다. 드라큘라 백작으로 알려진 루마니아의 브란 성(成)보다 인상적이었던 것은 숙소 주인장인 할아버지가 걸고 있던 명찰이다. 학회에서나 보던 이 큰 명찰에는 6개의 국기가 그려져 있었다. 여쭈었더니, 자신이 구사할 줄 아는 언어의 국가를 나타난다고 했다. 4개는 유창하게, 2개는 기본적 소통이 가능하다 하신다. 이런 다중언어 능력자를 노르웨이 베르겐의 관광 안내소에서 또 만났다. 영어로 우리를 도와주시던 자원봉사 아저씨는 우리 뒤로 들어오는 노부부와는 프랑스어로 대화를 하는게 아닌가. 곧이어 들어온 배낭여행자에게는 독일어로 설명했다. 그렇게 외국어를 다양하게 구사하다니 정말 대단하시다고 말씀드렸더니 손을 내저었다. 자신은 대단한 게 아니라며, 같이 봉사하시는 어떤 아주머니는 7.. 2021. 7. 25.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