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 디자인: 에듀테크, 블렌디드, 인공지능

학습목표 작성하기: IB 교육과정 command terms에서

by 디지털 구루 2023. 9. 20.

수업을 디자인하는 것은 (1) 수업의 목표를 정하고 (2) 그 목표를 향해 가도록 학생들이 어떤 경험을 하게 할 지 정하고 (3) 학생이 그 목표에 얼마나 다가갔는지 살피는 평가 방법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 때, (1), (2), (3)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업 목표를 문장으로 명확하게 적어보자. 

(1) 주어는 '학생'이다. 수업이 끝나면 학생에게 어떤 변화가 있는지 보여주어야 한다. 

(2) '무엇'을 어떤 '상황'이나 '조건'에서 해야할 지 명시한다. 

(3) 문장의 마무리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동사로 한다. 수업 목표를 작성할 때 흔히 하는 실수는 '안다', '이해한다' 로 마무리하는 것. 이 두가지 모호한 서술어는 가르치는 사람도 배우는 사람도 도와주지 못한다. 

 

문장을 마무리에 쓰이는 동사는 'Bloom's Taxanomy action verbs'등으로 쉽게 검색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하지만 더 구체적인 동사는 IB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command terms다. 과제나 평가 진술문에서 쓰이는 동사인데, 각 동사가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내용을 설명해 두고 있다. 아래는 그 중 일부를 가져와 번역했다. 기계번역이 아니라, 수업 상황을 설명할 수 있도록 한글로 바꿔 보았다.  

 

요즘, 학생들이 시험문제가 무슨 뜻인지 몰라 답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시험시간 중에 손을 들고 '이 문제가 무슨 뜻이예요?'라고 묻는다. 성적이 꽤 좋은 학생들도 마찬가지. 시험이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행위까지 포함할 수도 있지만, 수수께끼가 되어서는 안된다. 

 

아래 동사는 평가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경험을 디자인할 때에도 유용하다. 동사만 볼 것이 아니라, 오른쪽 설명을 곰곰이 생각해 보고 학생들에게 충분히 설명해 줄 필요가 있다. 

분석하다 필수 요소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세분화한다. 부분과 관계를 파악하고 정보를 해석하여 결론에 도달한다."
주석 달다 다이어그램이나 그래프에 간단한 메모를 추가한다.
적용하다 "주어진 상황이나 실제 상황에 대응하여 지식과 이해를 활용한다. 주어진 문제 또는 이슈와 관련하여 아이디어, 방정식, 원리, 이론 또는 법칙을 사용한다.
계산하다 문제 해결를 위한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수치로 답을 구한다.
분류하다 범주 또는 항목별로 정렬하거나 나열하다.
의견 제시하다 주어진 진술이나 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판단을 내린다
비교하다 "두 개(또는 그 이상) 항목이나 상황 간의 유사점을 설명하며, 두 항목 또는 상황을 모두 참조한다
비교 및 대조하다 "두 개(또는 그 이상) 항목이나 상황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설명한다.

 

구성하다 정보를 도식화하거나 논리적 형식으로 표현한다.
대조하다 "두 가지(또는 그 이상) 항목이나 상황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창조하다 자신의 생각이나 상상력을 작품이나 발명품으로 발전시킨다.
비평하다 "특히 예술 또는 문학 작품을 다룰 때 비평적 관점이나 의견을 제시한다.
추론하다 주어진 정보로 결론에 도달한다.
정의하다 단어, 구, 개념 또는 물리량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부여한다.
증명하다 "어떤 것에 대한 추론이나 증거로 명확히 하며, 예시 또는 실제적인 적용 사례를 든다."
파생하다 수학적 관계를 조작하여 새로운 방정식이나 관계를 제시한다.

 

묘사하다 상황, 이벤트, 패턴 또는 프로세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나 그림을 제시한다
설계하다 계획, 시뮬레이션 또는 모델을 생성한다.
결정하다 가능한 답안 하나를 얻는다.
개발하다 "점진적 개선, 정교화, 세부적으로 확장한다. 더 발전되고 효과적인 상태로 나아간다."
미분하다 함수의 미분을 구합니다.
토의하다 "다양한 주장, 요소 또는 가설을 포함하는 사려 깊고 균형 잡힌 검토를 제공하다. 의견이나 결론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적절한 증거로 뒷받침한다."
구별하다 두 개 이상의 개념이나 항목 간의 차이점을 명확히 하다.
문서화하다 참고하거나 언급한 정보의 출처를 약속된 인용 규칙에 따라 작성한다. 참고한 정보는 본문 내에서는 인용 표시하고, 문서의 마지막에서는 참고문헌 목록을 포함한다.

 

그리다 "연필을 사용하여 라벨이 붙은 정확한 도표나 그래프를 그려서 표현한다. 자(직선자)를 사용하여 직선을 그린다. 다이어그램은 축척에 맞게 그린다. 그래프는 점을 올바르게 배치하고(적절한 경우) 직선 또는 부드러운 곡선으로 연결한다."
추정하다 알 수 없는 수량에 대한 대략적인 값을 구한다.
평가하다 장점과 한계를 따져보거나 기준에 부합한지 그 가치를 살펴 의견을 제시한다.
조사하다 주장이나 개념이 타당한지 정보를 모아 자세히 살핀다. 반드시 가치판단을 할 필요는 없다.
설명하다 어떤 것에 대한 이유나 원인을 자세히 제시한다.
탐구하다 어떤 것을 발견하는 체계적인 과정을 수행한다.
찾아보다 문제해결의 관련 단계를 보여주는 해답을 얻는다.
공식을 만들다 서로 관련된 개념이나 논거를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표현한다.
다음 단계를 생각하다 앞선 작업을 사용하여 필요한 결과를 얻는다.

 

정당화하다 답 또는 결론을 뒷받침하는 타당한 이유 또는 증거를 제시하다.
명칭을 붙이다 도표 또는 그래프에 제목, 레이블 또는 간단한 설명을 추가한다
목록을 만들다 답의 순서를 설명 없이 간단히 나열한다.
측정하다 정보의 값을 얻는다.
구조화하다 아이디어와 정보를 적절하거나 체계적인 순서로 정리한다.
개요를 작성하다 간단한 설명이나 요약을 작성한다.
플롯을 만들다 도표에 점의 위치를 표시한다.
예측하다 앞으로 일어날 일이나 이벤트의 예상 결과를 제시한다.
제시하다 전시, 관찰, 검토 또는 고려할 사항을 제시한다.
우선순위를 정하다 주어진 정보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부여하거나 선호 순서를 정한다.
증명하다 일련의 논리적 단계를 사용하여 공식적인 방법으로 필요한 결과를 얻는다.

 

선택하다 목록 또는 그룹에서 선택을 선택하다.
보여주다 계산 과정이나 해답을 얻는 단계를 제시한다.
스케치하다 도표 또는 그래프(적절히 레이블 지정)를 사용하여 표현하다. 이 때, 필요한 도형 또는 관계를 아우르는 생각과 특징을 포함한다.
기술하다 설명이나 계산 없이 구체적인 이름, 값 또는 기타 간단한 답을 제시합니다.
제안하다 해결책, 가설 또는 기타 가능한 답을 제안하다.
요약하다 일반적인 주제나 주요 요점을 요약한다.
종합하다 새로운 이해를 돕기 위해 서로 다른 아이디어를 결합한다.